전체 글 썸네일형 리스트형 가마쿠라 막부의 수립 가마쿠라 막부의 수립 헤이시가 멸망한 후, '요리토모'는 조정의 승인을 받아 전국 각 지역 산하의 군에 슈고를 두었고, 장원과 공령에는 토지의 지토 제도를 수립하였습니다. 슈고는 전국의 군마다 설립이 되어 운영되었다고 합니다. 슈고는 해당 지역의 군대 역할을 하였는데 무사들을 모병하고, 훈련을 하였으며 군사 및 정찰의 업무를 담당하였다. 또한 각 지역의 정치에도 관여할 만큼 다방면의 역할을 수행하였습니. 이러한 슈고의 권한을 일컬어 대범삼개조라고 명명하였는데 세부 내용은 다음과 같습니다. 먼저 첫째 '오반사이소쿠'라고 하였습니다. 이는 자기가 담당하고 책임지는 군대의 고케닌들을 모병하고 훈련 지휘하였으며 평상시에 각 지역의 보초와 경비 역할을 담당하였습니다. 둘째 모반을 일으키거나 남을 살해하는 살인범을.. 더보기 가마쿠라 막부의 멸망 가마쿠라 막부의 멸망 가마쿠라에 막부를 수립한 '미나모토' 가문의 직계가 3대로 끊어지게 되면서 왕의 자리를 물려받을 '쇼군' 의 자리는 유명무실하게 되었고 그 자리를 '호죠' 가문이 '섭정' 역할을 하게 되면서 막부의 실제 권력을 장악하게 됩니다. 당시 '교토 조정'과 '가마쿠라 막부'는 서로 세력이 비슷하여 견제를 하고 있었으나 1221년' 고토바'가 막부를 토벌하기 위해 군사를 일으켰다 실패하면서 가마쿠라 막부의 정치적 우위와 군사적 우위가 굳어지게 됩니다. 이후 호죠 가문은 라이벌이 될 우려가 있는 가문들을 차례로 멸망시키거나 지방으로 유배를 보냄으로써 호죠 가문의 지배체제를 더욱 공고하게 강화합니다. 1274년과 1281년에 '몽골'이 세운 '원나라'와 고려가 바다를 건너 일본을 침공하려 수차례.. 더보기 가마쿠라 시대의 농업의 발달 가마쿠라 시대의 농업 가마쿠라 시대는 일본의 농업 기술이 크게 발전하는 시대였습니다. 가장 큰 이유는 일본에서 처음으로 이모작이 이루어지게 되었기 때문입니다. 이모작은 동일한 논 또는 밭에 두 종류의 농작물을 서로 다른 시기에 재배하는 기술을 말합니다. 예를 들자면 4월에서 8월 까지는 논에 벼를 재배하여 9월에 쌀을 수확하고, 쌀을 수확한 자리에 보리나 유채 등의 다른 농작물을 심어 이듬해 3월에 수확하는 경작 기술 입니다. 농사의 중요도에 따라서 메인 농작물과 서브 농작물을 구분하여 재배하고 있으며 재배 계절에 따라서 일반적으로 여름 농작물과 겨울 농작물로 구분하기도 합니다. 이모작은 한국과 같이 농경지 면적이 좁은 지역에서 최대한의 토지 효율을 이끌어 내기 위해 고안된 것으로 토지 이용율을 향상시켜.. 더보기 헤이안 시대의 화장법 헤이안 시대의 화장법 헤이안 시대에는 견당사가 폐지됨에 따라 중국과 한국을 모방하는 것이 아닌 일본 고유의 관습과 풍습이 생기게 되었습니다. 일본 귀족들의 궁정 생활 환경과 아름다움에 대한 의식이 헤이안 시대 특유의 화장법과 화장문화를 탄생시키게 되었습니다. 헤이안 시대 미인의 대표적인 특징을 보면 '하얀 피부' 입니다. 귀족과 궁중의 여자들은 모두 하얀 백분을 바르고 얼굴을 하얗게 화장하고 있었습니다. 백분은 아주 비싼 화장 재료였기 때문에 백분 화장을 하고 있다는 것은 곧 지위의 상징이기도 했습니다. 하얀 피부가 미인의 조건이 된 이유주에 대표적인 하나는 궁정의 환경을 들 수가 있습니다. 귀족이 살고있는 궁정의 실내는 낮에도 촛불을 켜지 않으면 어두컴컴하였기 때문에 어두운 곳에서 밝게 보이기 위해서 .. 더보기 가마쿠라 막부 시대의 음식 가마쿠라 막부 시대의 음식 가마쿠라 시대에 들어 일본의 농업은 크게 발전했습니다. 특히 서부 일본 지역에서는 이모작이 시작되었습니다. 이 이모작으로 인하여 봄부터 여름에 걸쳐 쌀을 만들고 여름부터 가을에 걸쳐 보리를 만들수 있게 되어 1년에 2회씩 논을 활용할 수 있게 되었습니다. 이로 인해 일본의 농업 기술과 농업 생산성이 크게 향상되었습니다. 가마쿠라 시대의 무사는 엄청난 양의 쌀을 먹고있었습니다. 기본적으로 식사의 횟수는 1 일 2 회 였지만, 전쟁 때되면 하루에 3-5 번 식사를하고있었습니다. 전쟁 기간 동안 전쟁터에서 먹을 수 있도록 주먹밥이 탄생 한 것이 바로 이 가마쿠라 시대라고합니다. 전쟁을 치루는 동안에는 엄청난 열량을 소모 할 수 밖에 없고, 정신적으로나 육체적으로 피로감이 극심하기 때.. 더보기 아스카 시대의 미술 아스카 시대의 미술 불교가 일본에 소개 된 것은 6 세기 중반부터 645 년대 입니다. 이는 불상이 갱신 된 후 약 1 세기까지 야마토의 아스카 지역(나라현)에 널리 알려졌습니다. Kudara의 Shomei 왕은 538과 552 법정에 불상과 경전을 바쳤습니다. 고대의 기록과 매장지의 매장물을 볼때 불교가 소개 된 것은 분명하지만 전기가 출판되면서 한반도와의 협상이 대중화되었고 대륙의 문화가 한반도 거쳐 일본으로 전달되었습니다. 그러나 6 세기로 거슬러가면 예술의 유물은 현재 매우 적으며, 불교 예술의 유물은 수 이코 왕조에서만 구체적으로 볼 수 있습니다. 6 세기 말, 수트라 불교 소가는 일본 최초의 본격적인 불교 사원 인 '아스카지 사찰'을 아스카 지역에 설립했으며, 석코 왕조 (Sukko 왕조) 동.. 더보기 헤이안 시대의 주거 문화 "죠몬시대는 바닥에서 생활" 구석기 시대에서 죠몬 시대로 지나오면서 사람들이 농경과 수렵·채취를 밑거름으로 삼아 생활을 하게 되었을 무렵 일본 주택의 뿌리가되는 수혈 주거 문화가 만들어지게되었습니다. 수혈 주거 문화는 말 그대로 땅에 판 구덩이에 기둥을 세우고 상단에서 잔디와 흙으로 구멍 전체를 덮도록 지붕을 얹은 것으로 나무 바닥은 없었지만 일본인의 생활을 크게 변화시킨 것이었다고 할 수 있습니다. 또한 혈연 집단이 아닌 사람들이 수혈 주거 문화에서 마을을 만들고, 건물을 짓고 수확물을 보관하는 창고로 활용하였던 것도 속속 확인이 되고 있습니다. 창고는 야요이 시대가 처음 만들어 졌다고 전해져오고 있지만 최근들어 죠몬 시대의 유적인 '아오모리현'의 '산나이 마루야마 유적'에서도 마루 건물의 기둥 구멍이.. 더보기 헤이안 시대의 목욕문화 목욕은 스트레스도 해소되고, 혈액 순환이 개선되어 건강에 아주 좋은 영향을 미치고 있습니다. 현재 "목욕"라고 말하면 욕조에 담근다는 온천목욕이 알반적이지만, 헤이안 시대에서는 방식이 현대와 조금 다릅니다. 특히 귀족은 원래 목욕 자체를하지 않았다고 전해지고 있습니다. 지금은 부담없이 집 욕실을 사용할 수 있어, 손쉽게 목욕을 즐길수 있지만 그 당시 헤이안 시대에는 어땠을까요? "헤이안의 수도는 비위생 적이었나?" 헤이안의 수도는 바둑판 모양으로 도로가 깔린 건물도 일정했던 명확한 기준에 의해 세워진 계획도시 입니다. 매우 면밀한 계산 하에서 도시 계획이 이루어져 헤이안 시대의 기술과 문화의 정수를 모아 만들어진 것은 믿어 의심할 겨를이 없습니다. 그러나 위생에 관해서는 부족한 점이 많았으며 특히 화장실.. 더보기 이전 1 ··· 47 48 49 50 51 다음